진서리코너 장인수 선생 노량진 대성학원 입시 전문학원에서 강사로 퇴직후 1만여권의 책을읽고 주옥같은 내용 을 선별하여 진서리 코너에 게제하고 있습니다.
내가 이루지 못한꿈 자식에게 읽게 하십시요
  • 화이부동(和而不同)아세요
  • 2016-04-23
진서리
       화이부동(和而不同)아세요

<!--[if !supportEmptyParas]--> <!--[endif]-->


지난주에 23일 신라문화유적 탐방 경주 관광여행을 했다.


경주 버스터미널 근처에 있는 경주 버스투어 이용했다.


먼저 불국사에 들려 뒤뜰에 좌우로 배치된 석가탑과 다보탑을 봤다


두 탑에서 신라 화랑의 모습과 정신을 확인할 수 있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석가탑직선적이고 극도로 절제되어 단순함을 보여주고,


다보탑은 곡선적이며 부드럽고 아주 장식적이다.


이 두 탑은 서로 다르면서도 하나인 절묘한 조화의 세계를 이루고 있다.


우리는 이런 상태를 화이부동(和而不同), 자타불이(自他不二)라고 부른다.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같지 않은 것을 조화롭게 그리고 너와 나는 둘


이 아니다라는 뜻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신라시대 원효 대사의 서로 다른 것들이 모여 소통을 통해 조화를 이루


어 내는 원융회통(圓融會通)’사상은 신라의 3국통일의 사상적 기반이자


신라문화의 서두였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다음 관광은 첨성대’, ‘안압지 경주 최부자가 살았던 교촌마을을 탐방했다.


신라의 유적지의 유물들은 하나같이 직선과 곡선 강함과 부드러움을 융합


해 이항대립으로 양분된 문화를 하나로 소통시켰다


즉 불안이 희망으로 바뀌는 시작인 셈이다.


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는지 가늠하기에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새는 두 날개로 난다.’


손바닥이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가위 바위 보에는 절대적 패자는 없다.’


어른들이 평화롭게 놀고 있는 아이들에게 묻는다.


어머니가 좋으냐? 아버지가 좋으냐?’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은 팔 한 쪽을 떼어주어야 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다음 날 울산 태화강 태화루 앉아 소주 한 잔하고 진주로 이동해서 진주성


촉성루에 올라 논개의 얼이 깃든 의암을 보면서 그녀의 충절을 느꼈다.


곧 바로 영천 조양공원으로 이동해 왕평(이응호)황성옛터의 노래비


보고 콧노래를 불러본다. (2 )




성은 허물어져 빈터인데 방초만 푸르러


세상이 허무한 것을 말하여 주노라


~ 가엾다 이내몸은 그 무엇 찾으려


덧없는 꿈의 거리를 헤매고 있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