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리코너 장인수 선생 노량진 대성학원 입시 전문학원에서 강사로 퇴직후 1만여권의 책을읽고 주옥같은 내용 을 선별하여 진서리 코너에 게제하고 있습니다.
내가 이루지 못한꿈 자식에게 읽게 하십시요
  • 탁월한 사람들
  • 2016-12-28
진서리
                탁월한 사람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그들은 쓰러졌다가도 다시 일어서는 사람이다


공처럼 다시 튀어 오르는 사람들이 있다.


실패에서, 곤경에서 공처럼 다시 튀어 오르는 것을 바운스 백이라 한다.


그 비결은 새로운 방법을 찾는 것이 아니라 기본()을 다지는 실행이다.


탁월한 사람들은 남들이 모르는 무슨 비결이 있는 게 아니라 모두가 다


아는 것이지만 그것을 탁월하게 실행했기에 성공한 것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탁월한 사람이 되고 싶은가?


무수한 흉내 내기에서 새로운 탁월함이 생기는 법이다.


<천년 습작><불멸의 이순신>을 쓴 소설가 김탁환의 말이다.


최고의 걸작들을 질투하며 베껴 쓴 수많은 시간들이 나를 작가로 만들


었다. 최고가 되고자 최고를 질투하며, 흉내 내는 길고 긴 시간에서 내가


탄생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눈을 떠도 눈을 감아도 두려운 살기 힘든 세상이다.


살아남고 성장하려면 기본에 충실하고 바닥을 다지는 내공이 필요하다.


내설악 백담사 길목인 용대리에선 겨울이 오면 너른 덕장에서 황태를 만


들어낸다. 흰 눈을 덮어쓴 채 얼고 녹는일이 수없이 반복된다. 거기에


햇빛과 바람이 더해지면 드디어 풍미(風味)가 완성된다고 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개인도 기업도 마찬가지다.


얼고 녹는과정을 반복하면서 탁월해진다.


씨줄과 날줄이 교차하면서 비단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기본을 확실히 다지는 사람이 공처럼 튀어 오른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내가 좋아하는 인일기백(人一己百)’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남이 한 번 해서 그것에 능하다면, 나는 백 번 할 것이며,


남이 열 번 해서 그것에 능하다면, 나는 천 번을 할 것이라는 뜻이다.


탁월한 사람은 인일기백하는 사람이 아닐까 싶어서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도종환의 시 <담쟁이>를 다시 읽어본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저것은 벽


        어쩔 수 없는 벽이라고 우리가 느낄 때


        그 때, 담쟁이는 말없이 그 벽을 오른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물 한 방울 없고, 씨앗 한 톨 살아남을 수 없는


        저것은 절망의 벽이라고 말 할 때


        담쟁이는 서두르지 않고 앞으로 나간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한 뼘이라도 꼭 여럿이 함께 손을 잡고 올라간다.


        푸르게 절망을 다 덮을 때까지


        바로 그 절망을 붙잡고 놓지 않는다.




        저것은 넘을 수 없는 벽이라고 고개를 떨치고 있을 때


        담쟁이 잎 하나는 담쟁이 잎 수천 개를 이끌고


        결국 그 벽을 넘는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