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리코너 장인수 선생 노량진 대성학원 입시 전문학원에서 강사로 퇴직후 1만여권의 책을읽고 주옥같은 내용 을 선별하여 진서리 코너에 게제하고 있습니다.
내가 이루지 못한꿈 자식에게 읽게 하십시요
  • 행복은 쾌감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 2017-01-04
진서리
           행복은  쾌감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행복이란 가족, 연인, 친구 등 인간관계 속에서 기쁨, 즐거움, 설렘 등의


쾌감을 자주 느끼는 것이다" 라고 연세대학 진화심리학 서은국 교수는


<행복의 기원>이라는 책에서 주장한다.


 


  ''은 어느 정도의 문화생활이 가능한 수준을 넘어서면 행복감에 별반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큰 것 한 방보다는 자잘한 즐거움이 끊이지


안 토록 이어가는 게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다.   그래서 행복이란 '쾌감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인 것이라고 봐야 맞다.


 


  권력, 명예, 돈은 그걸 같이 기뻐해주고 인정해주는 사람들의 무리 속에


있을 때 뇌의 행복 중추에 불이 번쩍번쩍 들어오는 것이지 모두가 슬슬 피


하고 흉을 보는데 혼자서 방에 돈다발을 쌓아 놓거나 임명장을 벽에 걸어


놓고 쳐다보면 무얼 하나? 무인도에서 혼자 돈 다발만 만져도 흥분되어 미


치겠다는 예외적인 종자도 이겠지만............


 


결국 가족, 연인, 친구 등의 관계가 불편해지면 행복감은 사라지는 것이다.


중년을 훨씬 넘긴 나이에 가족들마저 슬슬 피하고, 마땅히 편하게 불러 낼


친구하나 없어 외로워 죽겠다고 푸념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아졌다.


  


UN 발표 <2015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행복지수가 높은 국가 1위에서


5 위는 스위스, 아이슬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캐나다로 밝혀졌다.


이 나라들의 공통점은 서은국 교수가 말하는 행복메커니즘 (쾌감의 강도


보다는 빈도)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결론적으로 경쟁을 통한 '승자 독식' 사회는 절대로 행복해 질 수 없다는


것이다. 큰 것 한 방만 노리는 개인이나 기업, 국가는 행복해질 가능성이


크지 못한다는 말이다.


행복지수가 대만은 38, 일본은 46, 한국은 47위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