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supportEmptyParas]--> <!--[endif]-->
맹자의 <이루편>에 나오는 말로 ‘내 자식과 남의 자식을
바꾸어 가르친다’ 는 말이다. 군자가 자기 아들을 직접 가르
치지 않는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일 일까?
<!--[if !supportEmptyParas]--> <!--[endif]-->
가르치는 사람은 반드시 바르게 하라고 가르친다.
그런데 아버지가 자식에게 바르게 하라고 가르쳐도 자식이
그대로 실행하지 않으면 자연히 노여움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렇게 되면 도리어 부자지간의 정(情)을 상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자식이 속으로 생각하기를 아버지는 나보고 바른 일을 하라고
가르치지만, 아버지 역시 바르지 못하게 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부모의 말을 위선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것이 부자(父子)가 다 같이 정을 상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옛날 사람들은 자식을 바꾸어 가르쳤다.
내 자식 가르칠 생각일랑 아예 접는 게 상수다. 그나마 부자의
정을 지키고 싶다면 말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인간의 지능이란 천차만별이어서 그 지능만큼의 정도만
교육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부모가 직접 자식을 가르치면
자식의 지능이야 있건 없건 모든 것을 다 넣어주려고만 한다.
가르쳐주는 것을 곧바로 이해하지 못하면 화부터 난다.
이제 ‘역자이교지’의 뜻을 이해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