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밀도를 높여라
쇼펜하우어의 <소품과 단편집>에 고슴도치에 관한 우화가 나온다.
추운 겨울 고슴도치들이 체온을 유지하기위해 붙어 있으려고 했지
만 몸의 가시가 서로를 찔려서 다시 흩어진다.
흩어지면 매서운 추위를 견디기 힘들어 다시 모이고,
가시에 찔리면 또 흩어진다.
결국 모이고 흩어지기를 반복하다가 상대방의 가시를 피하면서도
서로의 체온을 주고받을 수 있는 “적당한 거리”발견한다는 이야기다.
스스로의 자립과 상대와의 일체감이라는 두 가지 욕망을 빗대는
용어로 쓰이는 글이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도 별반 다르지 않다.
인간관계의 부담은 최소화하면서도 외로움은 해소하고 싶은 딜레마
때문이다. 관계를 맺지도 끊지도 못하는 사람들이 “적당한 거리”를
발견하기 위해서 아닌가.
폴란드의 사회학자 <바우만>의 말이다.
“사랑은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작업, 끊임없는 노동,
서로 배우는 동시에 가르치는 것이다.”
이제는 가족이후의 가족, 관계이후의 관계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
한다. 고슴도치의 딜레마 사이에서 “당신만의 적당한 거리”는 얼마
인가?
누구나 타인과 연결되어있지만 정작 누군가가 필요할 때는 혼자인
고립의 시대가 오면서 나에 주목해야하는 시대가 왔다. 혼자 살아가
는 사람들의 숫자가 급증하는 이 시대에 나의 자존감을 살려줄 수
있는 사람은 다름 아닌 바로 나다.
이제 내면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이고 스스로 홀로 존중받고
사랑받을 만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나 홀로 살아가는 것이 운명이 되어버린 이 시대에 오직 관계밀도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고 자기밀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누군가와 평생 좋은 사이로 남고 싶다면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우선 자기밀도를 높여가야 할 것이다.
과도한 타자지향은 ‘자기밀도의 제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