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매매일지 기억은 공포이고 기록은 진실입니다.선물과 옵션의 시 고 저 종 한 종목이라도 기록을 남기십시요 수익이 달라집니다.
  • 듣기를 잃는 순간 지혜도 잃는다.
  • 2023-03-22
콩지기

 

 

듣기를 잃는 순간 지혜도 잃는다.

 

................................................................

년 말 년 초면 사람들의 모임이 많다그때에^^^

여러 사람들의 말을 들을 것인가 아니면 내 이야기를 할 것인가.

.........................................................................................

 

바이올리니스트가 임신 중에 연주회를 갖게 되었다.

그녀는 아이를 밴 채 연습에 몰두했다.

그리고 몇 달 뒤에 아이를 낳았다.

그 아이가 자라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다.

어느 날 가르치지도 않은 곡을 연주하는 게 아닌가.

그것도 전곡을 거의 완벽하게너무나 놀라 아이에게 어디서 배웠느냐고

물었더니 잘 모르겠다고 한다.

그냥 자기도 모르게 그 곡을 연주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제야 그녀는 그 곡이 임신 중에 매일 연주하던 곡이라는 것을 기억해

냈다아이가 배 속에서 그 곡을 반복해서 들으며 익혔던 것이다.

 

 

책 <잃어버린 지혜듣기>은 이 같은 사례와 인디언의 태교 등을 통해

배 속 대화 및 듣기의 중요성을 일깨준다.

북미 원주민 여인들은 임신한 사실을 알게 되면 곧 바로 배 속의 아이

게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야기를 들려줄 때 반드시 가락 실어서 들려준다는

점이다어머니 배 속에 있을 때나 태어나서나 이야기와 노래로 가득 찬

까닭이 여기에 있다사람들이 부르는 노래를 따라 배우는 동안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그들의 내적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고 이를 통해 대화 하

며 사회에 귀를 내민다.

 

 

태아는 어머니의 목소리를 안다고 한다그래서 배 속의 아이에게 말 하

고 노래를 불러주는 것이다왜 인디언 여인들이 새소리와 동물의 소리를

자기 입으로 직접 소리 내어 들려주는지 이해할 수 있다공기를 통해서

전해지는 새소리나 자연의 소리는 어머니의 배를 통과하는 동안 희미해 질

수밖에 없지만 어머니가 직접 성대를 울려 낸 소리는 그보다 훨씬 큰 소리

로 증폭되어 태아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태아가 직접 언어를 해독하지 못하므로 메시지는 알지 못하더라도 어머니

의 목소리에 담긴 감정은 충분히 안다는 얘기다.

그래서 기쁨과 평온따듯함사랑등의 감정을 실어 나르는 어머니의

목소리를 태아에게 듣고자하는 욕구를 더 키워주겠다는 것이다.

 

 

귀로 들을 수 있다는 것은 곧 우리의 감각적 통합능력이 회복되는 것을

의미한다자폐증난독 증학습지체실어증언어장애마음의 질병

생의 좌절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다 듣기 장애에서 온다는 것이다.

서구인들의 음악치료 등은 듣기를 이용한 치유법 아닌가.

잘 듣는 것을 통해 우리 인생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듣기를 잃는 순간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물질에 이끌리고 나를 앞

세우고 남을 지배하려고 한다.

그리고 상대방의 말을 듣기보다는 내이야기를 하고 싶어 한다.

그러니 사람들이 모인 곳은 언제나 시끄럽다.

그런 자리에는 주장만 있을 뿐 지혜가 있겠는가.

입은 하나인데 귀가 둘인 까닭은 두 배로 들으라는 의미다.

 

 

성경(야고보서1)에 듣기는 빨리하되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 하라.’고 말한다관계 속에서도 상대의 말을 속히 듣고 자신이

말 할 때에는 재갈물린 혀처럼곱씹고 또 곱씹어 사려 깊은 말 몇

마디만 한다면 우리의 삶이 얼마나 정갈해지지 않을까 싶어 하는 말

이다.

 

 

지혜가 없는 문화는 죽은 문화.

바로 여기에 현대문명의 비극이 있는 것이다.

듣기만 잘해도 인생이 달라진다고 하지 않던가.

...........................................

듣기를 경청이라고 한다.

경청(傾聽) ! 또 경청(傾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