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급함과 실수는 비례한다.
어떤 일을 해도 조급하게 해내는 일은 실수가 다반사다.
노자에 ‘도무수유(道無水有)’란 글이 나온다. 도(道)는 보이지 않고 보이는
것은 물이라는 뜻이다.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만 집중할 뿐 근본을 잊고 산다.
찻잔 하나를 고르는데도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모양, 색깔, 무늬에 한정되어
있을 뿐 그 안이 ‘비어’있음에 생각이 미치지 못한다.
진흙을 반죽해서 그릇을 만들지만, 그릇은 그 속이 비어 있음으로 해서 쓰임이
생긴다는 것을 노자는 “당무유용(當無有用)‘ 이라 했다. 채워져 있는 찻잔보다
비워져 있는 찻잔이 더 아름답다. 그것이 술이라도 좋고, 마음이라도 좋다. 일
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자꾸만 집착이 갈 때, 삶이 허무하고 불안하여 믿음이
가지 않을 때, 우리는 마음을 비우는 여유를 가져야 한다. 그래야 삶이 편해진다.
자기를 비워냄이 없이 채울 것도 없다는 게 불교 사상이다. 비우지 않고는 새로
운 것들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
‘경영의 신’이라 불리는 일본의 마쓰시타 고노스케가 생전에 지방 출장을 갔을
때의 일화다. 그 지역에 뛰어난 노승이 있다 하여 배움을 얻고자 스님을 찾아
갔다. 인사를 마친 후 노승은 준비된 찻잔에 차를 따른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
지 차가 흘러넘쳐 상이 물바다가 되어가는 데도 스님은 멈추지 않았다.
결국, 마쓰시타가 노승에게 묻는다.
“스님 찻잔이 이미 넘치고 있는데 어찌 계속 따르십니까?”
그러자 노승이 미소를 머금으며 대답 한다.
“그러게 말입니다. 이미 가득 찼는데 뭐 하러 계속 따르는 걸까요?”
답을 들은 마쓰시타는 당황하더니 이내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귀한 가르침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노승은 어째서 넘치는 잔에 차를 계속 따랐을까?
마쓰시타는 왜 귀한 가르침이라고 한 걸까?
노승은 이미 가득 차 넘쳐흐르는 찻잔을 통해 마쓰시타를 깨우치게 한 것이다.
더 큰 채움을 위해서는 비워야 한다는 것을, 잔이 그 가운데 아무것도 없음 때
문에 쓸모가 생겨나듯이 비우는 것이 진정으로 나를 완성하는 길이다.
“학문의 길은 하루하루 쌓아가는 것이지만, 도(道)의 길은 하루하루
비워가는 것이다.”라고 했다. 하지만, 정작 비울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
고. ‘더 많이, 더 많이’의 세상을 살고 있는 우리들은 어리석게도 넘쳐흐르는
찻잔을 바라보면서도 계속 차를 따르고 있다.
선물 금일 시가 : 326.95 고가 : 328.25 저가 : 325.15 종가 : 325.55 진폭 : 3.10
야간 시가 : 325.30 고가 : 327.05 저가 : 324.90 종가 : 326.75 진폭 : 2.15
전일 시가 : 324.35 고가 : 325.20 저가 : 323.45 종가 : 325.15 진폭 : 3.15
1. 선물은 326.95 시작하여 야고 327.05 회복 추가 상승하였고 장중고가 328.25 고점을 찍고 하락하였으며
10시 시가 붕괴 1포인트 구간 횡보를 진행하다 14시 추가 하락하여 전고 야저 324.90~325.20 까지 하락
325.15 저점을 찍고 325.55 으로 장을 마감
- 9시 00분 : 콜옵션 325 상대 월고 전고 5.89 찍음, 풋옵션 327 상대 월고 야고 3.68 - 3.65 지지
- 15시 00분 : 콜옵션 325 상대 월저 전저 4.04 -4.05 지지, 콜옵션 야저 지지, 풋옵션 야고 회복 못함
금일장은 양 327 , 325를 확인하였으며 처음부터 콜옵션이 야고를 지지하고 상승하였기 때문에 선물 상승
매수 대응 하였고 고점인 328.25 에서 매수 청산하였으며
콜옵션 327 상대 장중저가 3.65 회복 못하고 풋옵션 327 상대 장중고가 4.37 지지하였음으로 10시 이후부터는
시가를 회복 하지 못하면 고점 매도로 대응하였으며 양 325 교차 값이자 지지하고자하는 4.25~4.06까지는
붙어줘야 된다고 생각 고점 매도로 장을 이어가서 선물 325.50 까지 매도 확인 청산하였습니다.
다들 어려운 장에 수고하셨고 내일 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