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小考
눈은 마음의 창이라 하여 오장육부의 모든 혈관과 정기가 모여 있어 눈의 광채로 내장의 허
실을 판단할 수 있다. 오장육부중 눈을 주관하는 장기는 간으로 간이 피로하면 눈이 쉽게
어두워지고 침침하며 건강한 사람은 눈이 윤택하고 밝다. 전체적인 것은 간이 주관하지만
부위별로 눈동자(동공)는 신장이, 검은자위는 간, 흰자위는 폐, 윗눈꺼풀은 위장, 아래눈꺼
풀은 비장, 눈의 시작과 끝부분(내.외자)은 심장이 각각 관리한다. 따라서 신장이 튼튼하여
수기가 왕성하면 눈동자가 흑칠처럼 검고 빛나며, 지혜가 깊고 정신력이 강하다. 반면 좋지
않은 사람은 정수가 결핍 되어 눈동자가 흐리고 연하며 기가 허하다. 검은 자위는 간의 정
기가 집중된 곳으로 간의 기운이 왕성하면 검은 자위가 윤택하고 푸른 강물처럼 깊고 맑
다. 반면 기능이 약하면 검은 자위가 어둡고 탁하여 흐린 물과 같은 형상이 된다. 흰자위는
폐의 정기가 집중된 곳으로 폐가 튼튼하면 흰자위가 희고 깨끗하며 누런 사람은 폐에 습한
기운이 차 있을 가능성이 높고 붉은 사람은 폐에 열이 차 있기 쉽다. 눈의 내·외자는 심장의
정기가 모인 곳으로 이 부분은 약간 붉은 색을 띠고 있다. 내외자에 눈꼽이 많이 끼는 사람
은 심장의 기능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눈꺼풀은 위장의 정기가 집중된 곳으로 단단하고
탄력이 있어 늘어나지 않아야 좋다(진찰편 참조). 눈썹은 눈썹위로 흘러 내리는 물이나 티
끌이 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하는 방어벽 구실을 하고 속눈썹은 바람으로 인한 먼지나 강
한 광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눈이 큰 사람은 속눈썹도 길고 짙다고 보면된다.
윗꺼풀의 속눈썹은 100∼150개 아래는 50∼70개로 평균 4∼5개월만에 빠지고 다시 돋아난
다. 눈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수평직경 11∼12㎜, 상하직경 10∼11㎜의 계란형 구슬이다.
이 구슬의 안은 72∼85%의 수분으로 되어있고 맨 앞쪽에 각막이 있다. 각막과 공막사이에
홍채가 있고, 그 가운데에 동공이라는 원형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은 광선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축소, 확대가 가능하며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다. 구슬의 가장 안쪽에는 투
명한 신경조직의 망막이 있는데 바로 여기에 그림자가 비쳐 그 모양을 알아 보게 되는 것이
다. 눈은 수면시간을 제외하고는 계속 활동하기 때문에 피곤해지기 쉽다. 무엇보다도 1시
간 정도 작업을 하면 10분 정도 휴식이 필요하다. 유독 아래위 눈꺼풀에 다래끼가 잘 나고
사마귀나 잡티 등이 생기는 사람은 비 위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이다. 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눈병은 화의 기운에 의해서 생겨난다. 시력에 손상을 주는 뜨
거운 음식을 많이 먹었을 때, 열기를 오랜시간 쬐었을 때, 얼굴이나 머리를 다쳐 피를 많이
흘렸을 때, 달빛 아래나 어두운 불빛, 흔들리는 차내에서 책을 보았을 때, 장기나 바둑 또는
가는 글자를 오랫동안 보았을 때, 술과 성생활이 과도할 때 주로 눈이 나빠진다. 갓난아이
중 백내장인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산모가 전염병에 걸리거나 지나친 알콜이나 마약중독 또
는 태아의 산소결핍으로 또는 유전으로도 생긴다. 또 선천성 녹내장은 각막에 녹색이 나타
나는 병으로 시간을 다투는 무서운 병이다. 급성은 불빛 둘레에 무지개가 보이다가 갑자기
내기능이 약화되는데 며칠사이에 내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이 밖에 당뇨병으로 인한 내
기능 악화와 폐렴균의 감염 등 각막염도 주의해야 한다. 눈의 영양은 비타민 A나 빨강색,
노랑색의 채소류, 육류로는 쇠고기 간이 좋다.
시력은 위의 원인외에도 부모에게 물려받은 것도 중요합니다.
다음은 민간요법으로 손쉬운 것을 택하여 사용하십시요.
ㅇ 결명자차 또는 국화차(간 열증에 좋다)를 오래 마신다.
ㅇ 옻나무순을 먹고 자란 토끼나 염소의 간을 자주 먹는다.
ㅇ 구기자와 결명자 각 3㎏를 분말하여 개쓸개 100개와 반죽, 오동나무씨 크기로 환을 만들
어 매 식후 30분에 10환씩 먹는다 - 결막염, 시력저하 등 각종 안과 질환, 양기부족, 간허
증, 간염
ㅇ 산초나무 열매를 통째로 1일 정도 소금에 절여 말린 후 대나무통에 넣고 매일 2알씩 씹
어 먹는다. 간장으로 절임하여 먹어도 좋다.
ㅇ 소, 돼지의 간을 덩어리째 찐 다음 잘게 썰어 햇볕에 말려 분말, 마늘 믹서한 것과 메밀
가루와 섞어 콩크기로 환을 만들어(수분이 부족하면 참기름 첨가)청주에 1일 정도 담갔
다가 햇볕에 말려서 매 식후 30분에 5환씩 먹는다 - 눈물, 여성빈혈, 간기능 강화. 술 마
시기 전에 3환을 먹으면 취하지 않는다.
ㅇ 수삼 15g(1개)을 잘게 썰어 얼음사탕 10g과 물 750g에 찜통에 쪄서 먹는다 - 폐기종, 정
력감퇴, 신경쇠약, 자궁출혈, 시력감퇴
ㅇ 약누룩(神麴) 160g, 자석 80g, 광명사 40g을 분말하여 꿀로 오동나무씨 크기로 환을 지
어 매식후 30분에 3환씩 먹는다.
ㅇ 냉이 전체를 그늘에 말려 분말 매 식후 30분에 12g씩 먹는다.
ㅇ 매실씨를 노랗게 볶아 분말하여 아침 저녁으로 식후 30분에 4g씩 먹는다 - 장복하면 변
비와 간장에 이롭다.
ㅇ 당근을 즙내어 1일 1컵씩 마신다.
ㅇ 동지일에 무우를 뚜껑을 내고 속을 적당히 파낸 다음 계란 1개를 깨트려 넣고 마개를 꼭
닫아서 4∼5자 깊이의 땅 속에 썩지 않게 묻는다. 이듬 해 하지에 꺼내어 맑은 물로 변한
계란액을 점안한다. 중국에서는 무우를 심어 싹이 나온 뒤에 사용하라고 한다.
ㅇ 밤근무나 컴퓨터 작업 등 눈을 혹사하고 난 후는 신선한 생굴을 많이 먹는다.
ㅇ 자기오줌을 받아 씻는다. 아침 저녁에 소변을 보면서 처음과 끝에 나오는 오줌은 버리고
중간 것을 일회용 종이컵에 받아 마시고 씻는데 씻기만 해도 좋다. 우암 선생은 평생 소
변을 버리지 않았다고 전해지며 실제 필자의 부친은 현재 팔십 후반의 고령이신데도 안
경없이 신문을 읽고 계신데 비법이 바로 소변으로 눈을 씻는데 있었다 - 백태, 충혈, 결
막염, 안구건조증
ㅇ 아침 저녁으로 연한 죽염물에 씻고 한줌의 고추나 생강을 1홉의 에칠알콜에 우려내어 1
일 2∼3회 눈과 눈등, 관자놀이에 바른다.
ㅇ 태양혈을 가볍게 두드리면 대개 피로가 회복된다.
ㅇ 발바닥 전체에 참기름을 바르고 고루 맛사지 하거나 결명자 또는 메밀을 베게 속하여 사
용한다.
ㅇ 안약을 만들려면 황련 4g을 생수 1컵에 일주일 우려내어 깨끗한 베로 걸러 내어 씻거나
물푸레 나무껍질(秦皮) 12g을 생수 1컵에 우려 씻는다 - 각종 안질환
ㅇ 음식 요법
① 양의 간죽
양의 간 120g을 흐르는 물에 피를 완전히 씻어 물기를 빼고 알맞게 썰어 10분 정도 강한
불로 끓여 쌀 250g을 넣고 끓어 오르면 뚜껑을 조금 열고 죽을 쑤어 먹거나 양의 간 1개
를 잘게 썰어 죽 1그릇이 되게 끓여 소금으로 간하여 아침저녁 식사로 대용한다 - 양기
부족, 간기능 저하, 야맹증, 각종 안질환
② 황소생식기 구기자찜
소의 생식기 1개를 요도를 따라 반으로 가르고 물에 씻어 다시 뜨거운 물에 살짝 삶아
찬물에 식혀서 엷은 막과 요도에 낀 오물을 제거하고 다시 씻어 물이 끓을때 닭고기 토
막친 것 500g과 닭기름 100g을 넣고 끓여 뜨는 것을 건져내고 생강과 산초열매, 소금,
청주를 적당히 넣고 1시간 반쯤 약한 불로 삶아 닭고기는 건져내 따로 먹고, 다시 2시간
반쯤 삶아 생식기를 적당히 썰어 구기자 50g을 넣고 물이 빨갛게 우러날 정도로 4시간
가량 다시 삶아 소금으로 간하여 먹는다 - 신허요통, 시각장애, 당뇨, 노화예방
③ 쇠고기 구기자찜
소 넙적다리살 250g을 3분쯤 끓여 얇게 썰어 놓고, 냄비에 낙화생 기름을 둘러 뜨거워
지면 고기와 청주 20g을 넣어 살짝 볶아 놓는다. 산약 10g을 껍질을 벗기고 구기자 20g
과 용안육, 파와 생강 6g, 소금 약간, 청주 10g을 넣고 끓는 물을 부어 찜통에 2시간쯤
쪄서 파와 생강은 버리고 먹는다-신허 요슬통, 간경변증, 만성간염, 시력감퇴, 자양강장
④ 닭의 간 꿀찜
닭의 간 2∼3개를 흐르는 물에 피를 완전히 빼고 꿀 25g을 쳐서 찜통에 20분 정도 쪄서
먹는다-야맹증,시력감퇴 등 안질환, 변비, 마른기침, 자궁출혈의 임산부는 꿀을 줄인다.
⑤ 토끼고기 깨볶음
토끼 1마리(약 500g)를 먹기 좋게 썰어 청주와 설탕, 간장 각 15g과 소금 약간, 산초 열
매 10개, 파의 흰부분 9g과 버무려 30분쯤 두었다가 유채기름으로 강한불에 밤색으로
빛깔이 변하면 기름을 빼고 검은깨 볶은것과 참기름 각 15g을 쳐서 먹는다 - 신기능 약
화로 오는 노안, 허약체질, 변비, 소화불량
⑥ 돼지간 현삼조림
돼지의 간 500g에 현삼 20g을 넣고 물 750g에 강한 불에 끓어 오를 때 약한 불로 1시간
가량 끓여 고기는 건져 알맞게 썬다. 유채기름을 둘러 뜨거워지면 파와 생강 10g은 알
맞게 잘라 볶다가 돼지의 간을 볶은 후 마지막으로 간장과 설탕, 청주, 녹말가루 약간씩
섞어 먹는다 - 눈의 통증, 야맹증, 시력감퇴, 만성간염
⑦ 닭고기 호도볶음 - 만성기관지염 참조
⑧ 다시마 결명자수프
다시마 100g을 물에 불린 다음 채치듯이 썰고 결명자 50g과 물 1.5㎏에 15분 정도 끓여
소금과 후추로 간하여 먹는다 - 고혈압, 충혈
⑨ 돼지염통 구기엽 볶음
돼지염통 1개를 적당히 잘라 낙화생 기름으로 볶고, 구기자잎 200g은 살짝 볶아 소금로
간하여 섞어 먹는다 - 심계항진, 시력감퇴와 피로, 피로회복
ㅇ 운동요법
양쪽 엄지손가락의 끝마디 등쪽과 양측면을 약간 강하게 3분 정도씩 수시로 눌러 준다 -
불면증. 왼쪽이면 왼쪽, 오른쪽이면 오른쪽 복사뼈 아래 오목한 곳을 매일 5∼10분씩 맛
사지 한다.
ㅇ 수지침 요법
양손의 가운데 손가락 끝마디 볼록한 부분을 3등분하여 끝에서 1/3지점 좌우를 손톱이나
성냥개비등을 이용하여 3초 간격으로 꼭꼭 눌러 준다.
ㅇ 건강도인술
편안히 앉아 양 손가락 끝을 위주로 따뜻하게 비벼 손가락을 세워서 눈의 윗부분을 아래
쪽으로 지긋이 3초 정도 눌러주고 다음 아랫부분을 윗쪽으로, 눈의 안쪽에서 바깥 쪽으
로, 눈꼬리에서 안쪽으로 같은 요령으로 3초씩 눌러주고 다시 따뜻하게 비벼 손가락 끝
부분으로 두 눈두덩이를 지긋이 3초씩 눌러 준다 - 눈꼽, 시력 보호
원인과증상으로보는민의보감에서 발췌 그 이외의 자료를 보시려면
cafe.daum.net/kcgn1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