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을 섞어 쓰면 서로 효력을 잃는다
- 2008-06-18
장성수
[타약상제: 약을 섞어 쓰면 서로 효력을 잃는다.]
총알 한 개를 쏘아 목표 동물을 사냥하는 경우가 있고,
수백 개의 탄환을 한꺼번에
터뜨려 쏘아서 오행히 총알 하나가 들어맞으면 잡을
수있게 되는 사냥이 있다 꿩이나
기러기 들을 잡는 경우가 후자에 속하며 산탄 사냥이라고
한다.
병을 약으로 치료하는 데도 산탄요법이라는 것이 있다.
병이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겨냥을 할 수 없을 때 이약 저약 여러 가지를 섞어
쓰노라면 그 중의 하나가 맞아
떨어지겠지 하는 치료법이다.
병이 급해지면 허둥지둥 이약 저약을 같이 쓰게 된다.
양약도 쓰고 한약도 달이고
한사람만 갖고는 안심이 되지 않아 이 사람 저 사람을
찾아다니며 약을 지어온다. 약은
여러가지를 합치면 서로 효력이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작용이 서로 합쳐지는 것이 아니다. 서로 견제하여 효력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때로는
무서운 독작용도 나타나게 된다. 옛사람들은 약을
처방하는 데 있어서 그와 같은 상기,
상오, 상반등의 약성에 대하여 무척 신경을 썼다.
[훌륭한 의사는 진찰을 정확하게 하여 병을 알아내고 그
병을 가장 적합한 약을 써서
공격을 하기 때문에 작용이 직통이어서 치료되는 것이
빠르다. 그러나 지금 사람은
진맥하는 기술이 서툴러 기분으로 병을 짐작하고 약을
많이 써서 요행히 들어맞게 하려고
한다. 마치 비유를 하자면 사냥을 할 때 토끼가 어디
있는지도 모르고 들판에 무턱대고
그물을 쳐놓고 토끼 걸리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다. 사람의
경우도 이런 식으로 엉성하게
하면 우연히 한약이 들어맞는다 하더라도 딴 약이
상호작용으로 견제하니 약효를 제대로
낼 수가 없어 결국 병이 낫기 힘들게 된다.] [잡병편 권
1 용약]
[면견오색: 피부가 아름다운 사람이 심신도
건강하다.]
피부를 내장의 거울 또는 건강의 거울 이라고 하는 말이
있다. 내장의 기능과
건강상태가 피부에 나타난다는 뜻이다. 사람의 건강에
있어서 내장이 중요하지 피부는
내장을 감싸고 있는 겉가죽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잘못이다.내장이 튼튼하면 피부가 건강하고 피부를
튼튼하게 단련시키면 내장의 기능이
건강하게되는 상호 의존의 관계에 있다.
얼굴에 윤기가 돌고 혈색이 좋은 분을 만났을 때 피부가
좋으십니다 라고 덕담을 하는
뜻이 바로 건강하다는 의미가 되는 것 아니겠는가.
사람의 건강상태를 진찰할 때에 얼굴을 보아 안색을
살펴보는 것을 망진이라고 하는데
가장 중요한 진찰법의 하나이다.
[얼굴빛이 다섯 가지로 나타나는 경우:간장 기능이
나빠지면 겉으로 나타나서 안색이
푸르게 되며 신경질이 되어 성을 잘 내게 된다. 심장
기능의 허약은 얼굴이 붉게 나타나며
잘 웃는다. 폐가 약하면 얼굴이 창백하게 되며 재채기를
잘한다. 신장기능이 약해지면
(성기능 쇠약) 얼굴이 검어지고 겁이 많고 하품을
잘한다.] [외형편 권1 면]
얼굴 피부가 이와같이 내장의 기능과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상태와도 깊은 관계가
있다. 정신이 발달하면 피부 영양도 좋아서 예뻐지고
반대로 정신이 불안하면 피부의
탈력과 광택이 없어진다. 정신작용에 의해서 피부의
지방과 수분의 분비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가정이나 직장에서 기분 나쁜 일이
있으면 두드러기, 종기, 여드름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여자의 경우 남편과의 사이가 원만치
못하여 질투심이 불타면
두드러기가 생기고 속된 말로 얼굴이 썩는다. 이런 이치를
안다면 얼굴에 바르는 화장품도
필요하겠지만 얼굴이 붉으락푸르락하지 않는 마음의
화장도 필요하지 않을까.
[하난장섭: 사계절 중에서 여름 건강 지키기가 가장
어렵다.]
하지도 지나면 곧 여름이 절정인 삼복더위가 닥치게
된다. 열대지방 사람과 온대 또는
한대지방에 사는 사람들을 비교하여 볼 때 어디 사람이 더
건강한가. 일반적으로 추운지방
사람들이 체격이 장대하고 수명도 긴 것이 보통이다. 이런
사실만 보더라도 더위를
이겨낸다는 것이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위에
지쳐서 모든 기능이 약화되는 체질을
여름을 탄다고 하여 이런 사람에게는 여름의 건강법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일년 사계절 중에서 여름이 제일 몸조심하기 힘든
때이다. 몸 속에 음기가 도사리고
있어 뱃속이 냉해서 설사를 하게 되니 보신을 하여 주는
약이 필요하다. 차가운 음식은
먹지말아야 하며 기온이 높아 체력소모는 왕성한데 정력은
쇠퇴하니 특히 조심해야 할 것은
지나치게 땀을 흘리거나 설사를 하여서는 안 되며, 정력을
소모하여서는 안된다.] [잡병편
권3 서]
젊은이들이 혈기에 날뛰어 방종한 생활로 여름을 보내면
가을철이되도 몸이 약해지게
마련이니 세상만사 인과응보 아닌 것이 없다.
여름철에 냉한 것을 많이 먹거나 냉차 얼음물 따위를
폭음하면 비위가 약해져서
소화기능이 떨어지고 토사곽란을 일으키게 되므로 더위를
다스리는 약은 건위소화제화
수분대사를 조절하고 이뇨작용이 있는 약을 흔히 쓰는
것이다. [잡병편 권3 서]
하여튼 여름에는 위장이 약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한데 덥다고
냉맥주의 폭음으로 위장을 마비시키거나 인공적인
냉방때문에 온도 변동에 의한 스트레스로
두통,신경통, 알르레기, 전신권태감 등이 나타나서 더위를
피한다는 것이 도리어 더위에
지쳐버리는 결과가 되어서는 안되겠다.
[악이유식: 얼굴을 찌푸리면 위도 찌푸린다.]
요즘 소형 스테레오 헤드폰이 유행하여 책을 읽으면서도
음악이요, 길을 걷거나 자동차를
운전하면서도 노상 귀에서는 음악이 들려오게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 연구실에서 실험을
할 때에도 음악이 있으면 능률이 나고 심지어 양계장에서
음악을 은은하게 들려주면
산란율이 증가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여튼 음악이 사람의 마음이나 신경에 영향을 주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음악요법이라는 것이 있어 불면증인 어린아이에게 쇼팽의
왈츠곡을 들려주었더니 잠이
들었다든가, 열병환자에게 조용한 음악 리듬을 들려주면
열이 내리는 작용을 하였으며,
차이코프스키의 심포니가 강심작용과 혈압 강하작용을
나타냈었다는 등의 발표가 있다.
[동의보감]에서도 음악이 음식 소화에 좋다고 하고 있다.
[비장은 음악을 좋아한다(비장이란 요새 말하는
해부학적 비장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소화기능이라는 뜻으로 생각하면 된다). 밤에 식사를
많이하면 비위가 음식을 삭이지
못한다. 옛날 [주례]라는 책에 음식을 높은 분에게 권할
때는 음악이 있어야
한다 고하였다. 비장은 노래와 관현의 음악을 좋아하므로
귀에 음악이 은은하게 들려오면
비위가 동하여 음식을 삭이게 된다. 음식을 먹고 난 후에
손바닥으로 얼굴과 배를 수백 번
마찰하고 또 산보를 하면서 서성거리면 먹은 음식이
소화되기 쉬워 사람으로 하여금 식욕이
나게 하며 모든 병이 없어지게 된다.] [잡병편 권 4
내상]
이런 것을 보면 옛사람들도 알 것은 다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밥상머리에서 마음
상하는 이야기를 하면 먹은 것이 내리지 않고 체한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바이다.
위점막은 얼굴 표정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다. 얼굴을
찌푸리고 창백하면 위도 찌푸리고
창백하게 된다. 얼굴을 문질러 혈액 순환을 좋게 하면
위의 형액 순환도 좋아지는
것이된다.
[복송엽법: 옛사람들은 비상시에 솔잎 가루로 생명을
유지했다.]
소나무는 옛부터 절조, 장수, 번무의 상징으로
되어왔으며, 잎, 열매, 송진등은 성인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었다. 소나무는 종류가 아주
많았으며 우리 주변만 보더라도 적송,
백송, 해송, 리기다 소나무, 오엽송 등을 볼 수 있으며
가장 흔한것이 적송이다. 잎은 생것
또는 그늘에서 말린 것을 사용하면 위장병, 고혈압, 중풍,
신경통, 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다. 꼭어느 성분 때문이라고 할 수 없지만
여러가지 정유 성분, 비타민 A, C,
탄닌,고미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항균성 물질 등이 들어
있어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솔잎을 복용하는 방법:솔잎을 채취하여 잘게 썰고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3돈중(약12g)을
술에 타서 마신다. 또는 죽에 섞어 먹어도 좋고 검은 콩
볶은 것과 함께 가루로 만들어
따뜻한 물로 먹으면 더욱좋다.] [내경편 권1 신형]
옛사람들은 비상시에 밥을 먹지 않고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벽곡법에서 솔잎 가루를
많이 응용하였다.
[옛날 한나라의 종남산에 한 사람이 있었는데 발가벗고
살며온몸에 검은 털이 나있으며
산골짜기를 나는 듯이 뛰어다녔다. 포위를 하여 잡아본즉
여자인데, 말하기를 자기는
진나라때의 궁녀이었는데 관동의 적군이 쳐들어와 왕이
나가서 항복하므로 놀라 달아나
산속으로 들어갔다. 배는 고프나 먹을 것이 없던 차에 한
노인이 가르쳐 주기를 솔잎이나
잣잎을 먹으라고 하기에 먹었더니 처음에는 쓰고 떫었으나
차츰 먹을 만하게 되어 다시는
굶지 않게 되었다. 겨울에는 춥지 않고 여름에는 덥지
않으며 진나라 때부터 한나라 성제
때가 되엇으니 벌써 3백 년이 지난 셈이 아닌가.]
[잡병편 권 9 잡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