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기름을 항문에 넣으면 변이 통한다
- 2008-06-18
장성수
[도변법: 참기름을 항문에 넣으면 변이 통한다.]
관장법이라는 것이 있다. 어린아이가 오랫동안 대변을
보지 못했을 경우 약액을 항문으로
주입해 주면 그 자극에 의하여 변이 나오게 되는
방법이다. 소아뿐만 아니라 어른에게도
관장을 하며 또 관장의 목족도 변이 나오게 하기 위한
배변관장뿐만 아니라 입으로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할 경우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영양관장 및
직접 치료에 필요한 약을 주입해
주기 위한 치료관장 등의 세 가지 목적으로 나눌 수 있다.
관장법을 서양에서 개발된 치료법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우리 조상들도 벌써부터
관장법을 응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관장 기술의
개발역사를 따지는 것 한 가지만
깊이캐어 들어가도 약학사의 연구 제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변을 통하게 하는 방법:대변 불통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노인이나 쇠약한 환자가
설사약을 사용할 수 없을 때 꿀을 고아서 엿처럼 만든
것에 조각(주염나무 열매)가루를 조금
섞어 빛어서 정자(항문으로 삽입할 수 있게 만든
덩어리이며 요새는 좌약이라고 한다.]를
만들어 항문 속에 집어 넣으면 즉시로 대변이 나오게
된다.] [내경편 권4 대변]
조각이라는 약에는 사포닌 성분이 들어 있어 그 자극에
의하여 변이 나오는 것으로
추측된다.
[오랫동안 대변 불통으로 백약이 무효일 때 참기름을
입에 물고 가느다란 대롱을 항문에
꽂고 기름을 불어넣어 주면 환자는 참기름이 마치
지렁이가 기어들어가는 것처럼 늒며 점점
창자 깊숙이 들어가 잠시 후에 검은 대변이 나오고
편안하게 된다.] [내경편 권4 대변]
[동의보감]의 저자인 허준은 이 방법을 좀더 개량하여
참기름에 간장을 섞든가 또는
도라지를 찬기름에 담갔다가 기름에 감자을 섞으면 더
좋다는 속방을 소개하고 있다.
[음낭습상: 음낭이 습하고 찬 것에 신경을 쓸 필요
없다.]
누구나 다 그런 것인데도 자기만이 그런 줄로 오해를
하고 열등의식이나 병감에 사로잡혀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다. 예컨데 남성인 경우 자기 것이
유난히 단소하다고 생각하거나
음낭이 습하고 차가운 것은 정력이 약하기 때문이며 큰
병이 생겼다고 걱정하는 예가 그런
것에 해당된다. 사람이 꼭 키가 커야만 건강하고 기운을
쓰는 것이 아니라 작은 고추가 더
매운 것이 보통이다.
길가에서 엉터리 정력제를 선전하는 사람들이 습하고
냉한 것을 그냥 뇌두면 큰일난다고
부채질까지 한다. 그러나 습하고 냉하다는 것은
스태미너에 있어서 현역이라는 것을 뜻한다.
정자는 온도가 높으면 안 되기 때문에 정자의
제조기관인 고환은 언제나 냉각상태에
있어야 한다. 음낭의 피부가 주름살이 많아 표면적이 크고
언제나 습한 것은 수분이
증발되어 냉각 효과를 나타내는 라디에이터가 되기
위하여서이다.
그러니까 거기가 보송보송 건조하고 딴 피부와
마찬가지로 따뜻한 사람은 생식 능력을
상실한 노인에게서나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낭이
습하고 찬 것에 신경을 쓸 필요가
전혀 없으며 습하고 차갑다고 덥게 하는 보약을 먹어야
한다는 논리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그런 점은 역시 옛책의 인식 착오라고 할 수
있겠다.
[칠상증: 오로, 육극, 칠상이라고 하여 허약한 상태를
정도에 따라 표현하였는데 칠상은
생식기와 비뇨기의 기능 장애를 수반하는 허로를 말하고
있다. 칠상의 일곱 가지 증상은
첫째 음부에 땀이 나서 습하며 둘째 정력이 약하며 셋째
정액이 농후하지 못하고 넷째
정액의 양이 적으며 다섯째 음낭이 습하고 가려우며
여섯째 소변이 잦고 시원하게 나오지
않으며 일곱째 밤에 꿈이 많다.] [잡병편 권4 허로]
요새로 말하면 성신경쇠약증인데 옛사람들은 너무
정력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던 것 같다.
[졸증풍구급: 낮은 베개레 누이고 절대 안정을 시켜야
한다.]
뇌의 혈관 순환장애가 일어나 갑자기 의식을 잃으며
신체의 마비를 일으키는 병을
일반적으로 뇌졸중 또는 중풍이라고 한다. 이와같이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는 뇌출혈만이
아니고 뇌혈전 또는 뇌색전으로 뇌혈관이 막혀서 생기기도
한다.
건강하게 보이던 사람이 갑자기 쓰러지면 의식을 잃게
되어 가족들이나 주위 사람들을
무척 당황하게 만든다. 그렇기 때문에 허둥지둥 서둘러서
환자에게 불리한 응급처리를 하여
결국 불행하게 만드는 수가 있느니 조심해야 한다.
흔히 불러 깨운다고 머리를 흔들고 빰을 치면서
큰소리로 부르는가하면 삼키지도 못하는
약을 물에 갈아 입에 흘려넣어 엉뚱하게 기도에 들어가게
하는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절대 안정이 필요하며 설근침하라고 하여
혀뿌리가 목구멍으로 가라앉아
막음으로써 호흡 곤란이 생기고 입 속에 점액, 토물등이
가득차 호흡이 막히거나 폐로
들어가 질식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낮은 베개를 머리
밑에 넣고 토한 것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머리를 옆으로 눕히는 것이 필요하다.
[뇌졸중의 구급법: 처음으로 중풍이 되어 쓰러졌을 때
얼마 안 가서 곧 깨어나는 것은
치료하기 쉽고, 깨어나지 못하는 경우에는 환자 코밑의
인중을 손가락으로 꼬집어
깨어나도록 한다. 만약 가래가 성해서 막혔을 때에는
토하게 하여야 하며 입을 다물고 열지
않을 때도 토하게 하는 것이 좋다.] [잡병편 권2 풍]
[중풍은 대개 늙은이가 노여움을 참지 못했을 때
폭발되는 노여움의 화가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혼도해서 인사불성이 되는 것이다.] [잡병편 권2
풍]
혈압이 평상시에 높거나 동맥경화증이 있는 사람들은
언제나 마음을 편하게 먹고 짜증내지
않는 수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