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를 넘쳐서 망녕된 짓을 하는 것이 생명을 잃게 되는
  • 2008-06-18
장성수
[오미자: 과도한 피로 특히 두뇌의 피로를
회복시킨다]
  우리 음식에 오미자국이라는 것이 있다. 더운 물에
오미자를 담가 붉게
우러난 국물이며 화채나 녹말편 따위를 만드는데에 쓴다.
"오미자국에
달걀"이라는 속담은 달걀을 오미자국에 넣으면 녹아
버리므로 처음의 모양이
하나도 남지 않고 완전히 녹아 없어지는 것을 형용하는
말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렇게 간단한 것도 필자는 아직 실험을 통하여 확인을
못하고 있으니 말이 안
된다.
  <동의보감>의 보정단방(정력을 보충하여 주는 단방약)에
나오는 생약을
소개한다.
  오미자는 우리나라 각지에서 자라는 오미자나무의
열매인데 오미자라고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열매의 껍질과 살은 달고 시며 씨의 속맛은 맵고 쓰고
전체로는 짠맛이 있어
이렇게 다섯 가지 맛을 모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오미자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다.]  <탕액편 권1 초부>
  [오미자는 남자의 정력을 돋운다. 오미자 엑기스는
남자의 정기를 고정시켜서
몽설.유정 또는 조루증 등을 고쳐준다. 만드는 방법은
오미자 1근을 깨끗이
씻어 물에 담가 하루밤 지난 다음 찧어서 즙액을 취하는데
헝겊으로 걸러서
껍질을 제거한 다음 냄비에 넣고 꿀 2근을 섞어 약한 불로
고아서 엑기스가
되게 한다 매번 한두 숟갈을 떠내어 공복에 끊인 물에
녹여 복용한다.]
<내경편 권1 정>
  현대의학적 임상실험에 의하면 전신쇠약, 과도한 피로,
더욱이 두뇌의 피로를
회복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비슷한
작용을 하여 해산 후에
자궁 수축을 돕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기타 여러가지
성분이 연구되고 있으나
한방에서 말하는 강정, 강장, 진해 작용이 어느
정도인지는 확언할 수 없다.

    [토사자: 신경쇠약 다스리는 정력제]
  토사자는 새삼이라는 기생식물의 씨이다.
  [토사자는 처처에 있으며 흔히 콩밭에 많이 생기며
뿌리가 없이 딴 식물에
기생하여 사는 식물이다. 황색의 가느다란 줄기이며 음력
6 - 7월에 결실하며
씨앗은 누에알처럼 아주 잘다. 9월에 채취하여 볕에
말려서 약으로 하는데 술과
같이 사용하면 좋다. 선도의 처방이나 민간약에서나 모두
보약으로 사용한다.]
<탕야편 권2 초부>
  [토사자는 정력을 더해 주며 골수를 충실하게 하여
준다. 페니스에서 아무
감각없이 정액이 흘러나오는 증상이라든가 꿈에 성교를
하여 정액이 나오는
등의 성신경쇠약증을 다스린다. 가루로 만들어 복용하든지
환약을 만들어
복용하든지 모두 좋다.]  <내경편 권1 정>
  수지양배당체가 성분으로 들어 있어 정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이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되는 정도이지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루에 5 - 10그램을 달여서 복용하며 달인 물을 피부에
바르면 땀띠,
여드름, 주근깨 등에 좋다는 민간요법도 있다.
  <신농본초경>에는 상약 중에 토사자가 들어 있으며
"주속색상 보부족 익기력
내복명목(상처를 아물게 하며 부족증을 보해 주고 기력을
도와주며 사람으로
하여금 살이 끼고 건강하게 만들며 오래 계속 복용하면
눈이 밝아진다)"고
하였다.
  <포박자>의 [선방단복방]을 보면 허리와 무릎 아픈 것을
고치며 풍을 없애
주며 시력을 밝게 하고 오래 복용하면 피부가 광택을 내게
되며 늙음을 변하여
젊게 한다고 하였다.
  토사주라고 하여 토사자 100그램, 설탕 또는 꿀
200그램, 소주 1리터를
우리병에 담아 2개월 저장해 두었다가 마신다(토사자를
찧어서 넣으면
1개월이면 된다). 하루에 소주잔 1개 정도 복용으로
효력이 나타난다고 한다.